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jango Nodejs 차이점
- string 함수
- 자료구조
- 연결요소
- EOF
- scanf
- 시간복잡도
- 입/출력
- 백준
- 구조체와 클래스의 공통점 및 차이점
- 이분그래프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 알고리즘 공부방법
- vscode
- Django란
- Django의 편의성
- 매크로
- 입출력 패턴
- correlation coefficient
- 엑셀
- string 메소드
- 표준 입출력
- 2557
- double ended queue
- k-eta
- UI한글변경
- c++
- getline
- iOS14
- 장고란
- Today
- Total
Storage Gonie
남석관님이 말씀해주신 투자방법 본문
* 유튜브 영상을 보고 적은 내용
[투자방법]
1) (가장비중높음) 몇 년 간격으로 변하는 시대(시장)중심주, 지수의 높낮이에 따른 비중조절 매매(반도체, 미래차관련)
- 상승 초기에 잡아야 하는데 이동평균선을 참고할 것.
이동평균선은 지금 가격이 높은지 낮은지를 참고할 수 있는 지표이므로 참고하면 좋음.
- 시장 중심주가 많이 떨어졌다가 골든크로스가 처음 발생했을 때 매수, 데드크로스가 발생하면 무조건 매도.
그리고 이게 꺾인다음에 20일선, 60일선일 때 매수하는거. -> 여긴 맥락이 없어 이해안됨.
- 시대중심주에서 정배열 되기 전에 즉, 단기가 장기 이평을 뚫을 때 골든크로스가 발생하는데
이 때 먼 발치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향후에 주식시장이 어떻게 될것인가? 또는 어떤 사건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 매도는 지수 최고치 컨센서스 3500이면 3200선에서 더 올라봤자 10% 이므로. 지수의 영향을 크게 받는 중장기
대형주들은 보유비중을 2/3을 다 줄여버린다.
심지어 어떤 쪽은 아예 계좌를 다 비워버릴 수도 있음.
* 책에서 시장 중심주로 언급해주신 종목들의 차트와 이동평균선의 움직임을 관찰하면 자기것으로 만드는데 분명 도움될 듯.
이는 버블주만 모아서 관찰했던 김종봉 님의 매매기법 연구방법과 일맥상통함.
2) (가장비중적음) 단타
- 지수가 200~300정도 움직이는 구간에서만 내고나온 수익은 기법상관없이 단타수익으로 봐야한다.
이를 단타로 인식하는게 중요한 것이 단타로는 복리수익을 불릴 수 없는데 수많은 실패할 개미들이 이를 시도하려
들기 때문이다. 단기투자는 이슈를 가지고 올라가는 주식을 빠르게 편승해서 수익을 보고 나오는 투기세력의 심리를
이용해서 돈을 버는 것인데, 불확실성이 큰 만큼 리스크가 엄청나게 크다. 그러니 수익이 났다면 바로바로 인출해라.
복리로 불릴 수 없음을 인정하자. 이것이 단타 성공의 지름길이다. 그리고 순간의 운에 의존하는 특성상 단타계좌를
열어 첫 매매를 시작하고자 한다면 계좌의 원금을 잃어도 다시 채워넣을 예비 총알이 있어줘야 하는 것이 기본이다.
* 매일 어떤 재료에 오르고 내리는 지를 공부하는게 큰 도움이 됨.
3) 우량주 중에 호재로 올랐지만 떨어져도 다시 다가올 미래가 남아있는 종목 줍줍.
- 미래 모빌리티 관련 앞으로 다가올거 : 애플카. 기아차. 협업관계
많이 떨어지면 바로 매수. 이런건 정찰매수를 보내두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앞으로 어느쪽의 산업이 좋아질 것인가?
- 코로나로 인해서 가장 많이 피해를 봤던 것들.(주가가 미리 올라간 부분도 많이 있다.)
이런쪽들도 많이 오르긴 해지만 계속해서 관심을 갖고 있으면 가치주 이런거 따질거 없이 수익볼 수 있다.
다음에 좋아질 좋목, 다음에 좋아질건데 아직 많이 안올라간 종목, 이런쪽을 신경쓰면 단순하게 수익을 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