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UI한글변경
- c++
- double ended queue
- 연결요소
- string 메소드
- 2557
- vscode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 correlation coefficient
- 입/출력
- getline
- scanf
- Django의 편의성
- string 함수
- 장고란
- Django Nodejs 차이점
- EOF
- 알고리즘 공부방법
- 입출력 패턴
- 자료구조
- 구조체와 클래스의 공통점 및 차이점
- 엑셀
- Django란
- 백준
- k-eta
- 매크로
- iOS14
- 이분그래프
- 표준 입출력
- 시간복잡도
- Today
- Total
Storage Gonie
conda 가상환경 사용방법 본문
Pycharm 설정
1. 프로젝트 생성 후 Settings - Project Interpreter - 오른쪽에 톱니모양 - add
2-1. 가상환경을 새로 생성하고 싶다면
- 'New environment' 를 선택 후, Location에서 맨 뒤의 이름을 수정해주면 됨.
- 이러면 프롬프트에서 새로운 가상환경을 생성한 것과 같은 효과.
2-2. 기존에 생성한 가상환경을 사용하고 싶다면
- 'Existing environment' 를 선택 후 Interpreter 에서 원하는 것 선택.
Anaonda Prompt 제어
존재하는 가상환경 확인
- User/Anaconda3/bin 위치에서 "./conda env list" 입력
가상환경 생성
- User/Anaconda3/bin 위치에서 "./conda create -n 생성할환경이름 python=3.5.2" 입력
- 이렇게 하면 해당 가상환경에 지정한 버전의 파이썬 및 기본 모듈이 설치된다.
가상환경 삭제
- User/Anaconda3/bin 위치에서 "./conda env remove -n 가상환경이름 -all"
가상환경 활성화
- 현재위치 상관없이 "source activate 가상환경이름"
가상환경 비활성화
- 현재위치 상관없이 "source deactivate 가상환경이름"
가상환경에 존재하는 패키지 확인
- 패키지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현재위치 상관없이 "pip freeze"
가상환경의 패키지 정보를 txt 파일로 출력하기
- "pip freeze > 파일명.txt" 을 입력하면 파일이 생성됨
- "cat 파일명.txt" 을 입력하면 화면에 파일의 내용을 출력해볼 수 있음
생성한 가상환경을 Pycharm에서 적용하는 방법
프로젝트 생성 완료 후 다음과 같은 위치에서 설치된 패키지를 확인하거나 가상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툴 사용법 > Pych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env 가상환경 사용방법 (0) | 2019.08.01 |
---|---|
pipenv 가상환경 사용방법 (0) | 2019.08.01 |
Github - Pycharm연결(Pycharm에 있는 것을 Github에 올리고 싶은 경우) (2) | 2019.02.21 |
Github - Pycharm연결(Github에 올라가 있는것을 Pycharm에 복사하고 싶은 경우) (0) | 2018.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