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vscode
- 매크로
- double ended queue
- scanf
- Django의 편의성
- string 함수
- 연결요소
- getline
- Django란
- 표준 입출력
- iOS14
- 시간복잡도
- string 메소드
- 자료구조
- EOF
- 입/출력
- Django Nodejs 차이점
- 엑셀
- correlation coefficient
- UI한글변경
- 2557
- 입출력 패턴
- 알고리즘 공부방법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 구조체와 클래스의 공통점 및 차이점
- k-eta
- 장고란
- c++
- 이분그래프
- 백준
Archives
- Today
- Total
Storage Gonie
수익 극대화 본문
반응형
# 10/7(신라젠)
- 당일 장 초기에 엄청난 거래대금으로 상대적으로 강하며, 강하게 밀고올라온 중간에 음봉이 없다면
이는 바로 2차 파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가늠해볼 수 있다. 이 때 저항이 적은 236선 위로 쏘아올려진다면,
그리고 매도물량이 위로갈수록 증가하는 상승 호가창으로 전환된다면 좀 더 기다려볼 수 있는 상황이다.
- 오후처럼 상한가를 갈 조짐이 보인다면 잡았을 때 조금 길게 볼 필요가 있다.
이때의 패턴은 살짝펌핑 -> 살짝 눌림 -> 상승
상한가 직전에는 물량을 사도사도 안줄어드는데 갑자기 마지막에 큰 거대자금이 들어와 마감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