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이분그래프
- iOS14
- 2557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 매크로
- 시간복잡도
- 장고란
- EOF
- double ended queue
- 입/출력
- correlation coefficient
- Django의 편의성
- vscode
- 자료구조
- string 메소드
- k-eta
- c++
- 입출력 패턴
- 구조체와 클래스의 공통점 및 차이점
- Django Nodejs 차이점
- 백준
- getline
- string 함수
- 연결요소
- 알고리즘 공부방법
- scanf
- 엑셀
- Django란
- 표준 입출력
- UI한글변경
- Today
- Total
목록취업정보 (48)
Storage Gonie
채용정보 : http://job.shinsegae.com/recruit_info/notice/notice01_list.jsp대졸사원 : 약 3700만원
채용정보 : https://recruit.kumhoasiana.com:4431/jobinfo/jobinfo_view.asp?ID=1032대졸사원 : 약 3600만원
채용정보 : https://careers.11stcorp.com/jobs대졸사원 : 약 3000만원
삼성은 나오는 문제의 유형이 정해져 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준비해보자. # 문제유형- 3시간 동안 2문제를 풀어내야 한다.(오전반, 오후반으로 나뉘어 시험을 진행하나보다.)- '시뮬레이션', 'DP(Dynamic Programming)', 'DFS(Depth First Search)', 'BFS(Breadth First Search)' 관련 문제 만큼은 확실하게 준비해가자.- 그러면 2문제 중 최소 1문제는 맞출 수 있고, 2문제를 모두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무난하게 통과가 가능! # 마인드 적인 팁- '시뮬레이션' 유형 문제의 경우 "아...이상한데...이렇게 하다가 안풀릴것 같은데.... 문제가 너무 복잡해...." 라는 생각이 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 유형의 문제는 특별한 알고리즘을..
지원동기 - 회사에 대한 관심, 직무역량 어필 성장과정 - 어떠한 경험이 있었고, 그 경험을 통해 무엇을 얻었는지 https://www.jobkorea.co.kr/goodjob/tip/view?News_No=18428&schCtgr=0&Page=1 기업이 원하는 자소서 성장과정 작성법 자소서의 성장과정 항목에서 의외로 어려움을 느끼는 취준생들이 많다. 성장과정을 통해 인사담당자가 알고 싶어 하는 것이 무엇인지만 정확히 파악한다면 그리 어려운 항목은 아니다. 아래에 www.jobkorea.co.kr 성격장점, 단점 1) 문제 2) 변화게된 계기 3) 깨달음을 얻은 후 행동으로 옮긴것 https://www.jobkorea.co.kr/goodjob/tip/view?News_No=18854&schCtgr=0&P..
단점을 작성할 때 주의해야 할점 - 치명적인 단점을 자소서에 쓰면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어떠한 단점인지 보다는 극복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 "이런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강합니다, 많이 있습니다" -> "~로 인해 ~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로 최대한 단점을 경감시켜 표현해야한다.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성격의 단점 7가지 1. 거절을 못한다. - 거절을 잘 못하는 성격 | 이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이를 어떤 방식으로 극복하고 있는지 2. 남의 말을 잘 듣는다. - 우유부단한 태도 | 이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이를 어떤 방식으로 극복하고 있는지 3. 너무 꼼꼼하다. - 꼼꼼해서, 신중해서 시간이 오래걸리는 성격 | 이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이를 어떤 방..
아직 이해못할 기술적인 내용들이 존재하지만 읽어보자. 자소서 작성이 끝나구. 출처 : https://d2.naver.com/news/3435170?fbclid=IwAR1ULLghMwMWUdlsibFcydl_1IUTM05bcU1mNeXYgwRyK3_bl2VwWPk1Wmg
# 이동욱 개발자님- 우아한 형제들에서 백엔드 개발중- 블로그에 글쓰는 것을 좋아하는 6년차 개발자.- 비전공자로 국비지원으로 학원다니다 취업해서, 10개월 다니다 퇴사(입사후 바로 서비스 회사에 이력서냄) -> 줌 2년 -> 우아한형제들 # 배울점- SI업계에서 꾸준한 자기계발로 서비스 업계로 탈출함- 두번째 회사로 이직하기 위해 야근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SI업계에서 매일 5시반에 일어나서 7시 반까지 가서 공부함(10개월 동안 매일)- 개발자는 연습해둔 결과를 회사에서 내야하기 때문에 개발이 취미인, 평소에 쌓아둔게 있는 사람이 유리하다고 함.- 남는 시간엔 카페에서 코딩하고, 개발하면서 배운 것을 혹은 커뮤티티 행사 참석에 대한 글을 쓴다. 공부하기위해 게임은 안한다.- 꾸준히 블로그 글을 작성한..
# 일일 커밋의 효용성 눈에 보이는 지표가 있다면, 눈에 보이는 목표치도 정할 수 있게 된다.100일 커밋, 좋아요 300개, 일일 조회수 500, Star 100 등 뭐가 되도 좋으니 본인의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매일 매일 뭔가 진행하고 결과를 확인하자.중간중간 못할때도 있고, 그땐 편법을 쓸수도 있다. 그래도 계속하자. 개인프로젝트, 스터디 등은 지표가 없어서 쉽게 지칠 수 있다. 출처 : https://jojoldu.tistory.com/402
Q. 신입 때 원하던 기업 떨어지고 작은 기업에 붙었다. 취업할까? 미룰까? 한줄답변 : 개발자는 현업에서 일해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래야 뭘 준비해야하는지, 뭐가 부족한지가 명확하게 보인다. 그러니 일단 가서 경험해라. 이제 막 대학을 졸업한 졸업생들이 할줄 아는 것은 로컬에서 게시판을 만드는 것과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것 밖에 없다. 이것 말고는 뭘 준비해야하는지 모르기 때문이다.운영, 배포, 빌드, 트러블슈팅, 자동화, 최적화, 코드 리뷰, 타직군/타사와의 협업, 고객 대응 등은 경험해보지 못하면 절대 알 수 없는 내용들이다.한번이라도 이런것을 경험해본 사람과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은 다음 단계를 준비하는데 있어 정말 큰 차이가 난다.이걸 무시하고 허송세월 보내는 것은 가장 많은 것을 배워야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