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getline
- 알고리즘 공부방법
- UI한글변경
- 구조체와 클래스의 공통점 및 차이점
- 장고란
- 연결요소
- double ended queue
- 시간복잡도
- scanf
- EOF
- k-eta
- c++
- 백준
- 입/출력
- correlation coefficient
- 표준 입출력
- 엑셀
- Django Nodejs 차이점
- iOS14
- 2557
- vscode
- 입출력 패턴
- Django의 편의성
- string 메소드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 매크로
- Django란
- string 함수
- 자료구조
- 이분그래프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65)
Storage Gonie
대기업 갑 회사- 영어, 성적, 학벌에 대한 커트라인이 높은편.- SW개발 능력을 묻지 않는다. 뽑은다음 키워서 쓸생각 이기 때문에 그렇다. 면접을 통해 기업 문화에 맞는 인력인지 판단할 뿐이다.- 취업준비 할 때 코딩은 독학으로하면서 취업 커뮤니티를 통해 스터디 하는것이 도움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연봉을 받음- 갑으로서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음- 칼자루를 쥐고 행동하므로 예산을 컨트롤 할 수 있고, 프로젝트를 직접 만들어서 수행이 가능하다.(예산에 대한 오너쉽)- SW개발과 다소 거리가 있는 문서작업을 많이함- SW제품에 대한 '기획' 및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제안'을 수시로 해야함- 새로운 비지니스 를 발굴해야 함- 해당 비지니스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여, 을에게 요청할 요구사항을 만들어 프로젝트..
SI 업계의 산업구조- System Integration(시스템 통합, 구축) 하는 일을 함.-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네트워크 등 IT와 관련된 수많은 요소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시스템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 국내에서는 하청을 받아, 시스템의 기획, 개발, 유지보수, 운영 등을 대신 해주는 업종이다. - 그래서 개인보다는 기업이나 관공서가 주된 고객이다.- 이 이유로 고객의 시스템을 관리 및 운영해야하기 때문에 파견 업무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 SI 업계는 주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Java 웹 개발이나 모바일 앱 개발을 한다.- SI 업계에 프로그래머들이 몰리는 이유는 시장의 규모가 크고 채용인원이 많기 때문이다.- 국내 SW 산업의 매출액 합계 순위는 1위 SI업종, ..
개발자로 지원하는 것이라면 최소한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 개발 역량에 대한 것을 꼭 드러내자. 이런 기본적인 것 조차 무시하고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 대기업이 지원자를 자소서로 분류하는 기준1. 정말로 훌륭한 지원자의 자소서 (지원자의 약 10%미만)- 개발에 대한 경험이나 인사이트가 드러난 경우 - 기본적인 커리큘럼 이외에 수행한 개인 프로젝트, 공모전, 논문발표, 스터디 등을 했다면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ex)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 등 2. 애매한 자소서(지원자의 약 60%)- 평범한 성장과정- 그냥 성실하게 학부 커리큘럼을 이수한 내용- 커리큘럼 중 진행했던 몇 개의 팀 프로젝트 경험 - 성적이 나쁜 경우- 맞춤법이나 영문법 오류- 앞의 앞뒤 맥락이 안맞는 경우- 업계의 용어를 잘못 이..
0. 기업별 자소서 공략법 - https://jasoseol.com/blog/category/7 1. "경험 정리법" 취준 초보라면 이것부터 시작하세요 - https://jasoseol.com/blog/post/1 2. "기업 분석" 차별화된 지원동기를 쓰고자 한다면 - https://jasoseol.com/blog/post/2 3. "지원동기" 채용담당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이 문항 - https://jasoseol.com/blog/post/3 4. "입사 후 포부" 회사, 직무,나 삼위일체가 필요한 이것 - https://jasoseol.com/blog/post/4 5. "성장과정" 부모님 소개 말고 내 소개를 하자, 그리고 힘든일이 있었을 지라도 감성을 파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그 경험을 통해 뭘..
# 취업이란? - 내가 누구이고, 왜 이 일을 하고 싶으며, 어떤 능력으로 회사에 득이 될 수 있는지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내가 아는 나와 남이 보는 나를 동시에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어야 한다. - 가고싶은 기업의 면접만 준비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바보같은 짓. 마음에 들지 않는 기업이라도 먼저 이력서를 넣고 실제 면접을 봐둬야 나중에 원하는 기업에 붙을 수 있음. # 취업스터디 - 참여하는 모임은 무조건 나 보다 잘난 사람들이 모인 그룹이어야 한다. - 하나의 모임에만 집중하지 말고, 최소 2개를 동시에 비교하며 참석해봐야 한다. - 이런 시간적 소비가 있기 때문에 남보다 빨리 취업 준비를 시작할 수록 좋다. # 취업 캠프, 취업 박람회 - 학교 내외에서 진행되는 취업 캠프, 취업 박람회를 열심히 따..
# 공부 방식에 관한 것 (1차 인터뷰어들의 조언)1. 이것저것 유행을 따르지말고, 자신만의 경쟁력을 갖춘 한 분야를 만들어야 한다.2. 주니어는 어떤 기술셋을 많이 알고 있나 보다는, 왜 이런 기술을 사용했는가 장단점을 비교 및 설명을 할 수 있어야 한다.3. 알고리즘, 자료구조는 면접에서 빠질수 없는 주제이므로 벼락치기 보다는 평소에 꾸준히 조금씩 준비하자.4. 사소한 것도 그냥 넘어가지말고, 끝까지 알아내어 공부하자. 면접관은 그 지원자가 사소하게 넘어간 부분에서 끝까지 물어본다5. 정말 본인이 관심 있고 흥미를 가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깊게 파헤쳐 보는 것이 중요하다. # 기타 가산점이 되는 것 (1차 인터뷰어들의 조언)1. 현업에서는 공고와 연관된 비슷한 경험을 가진 사람을 원하므로 이에 맞는 경..
채용정보 : http://recruit.hyundai-autoever.com/index.jsp대졸사원 : 약 430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