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료구조
- 엑셀
- 시간복잡도
- string 메소드
- Django Nodejs 차이점
- c++
- k-eta
- 연결요소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 구조체와 클래스의 공통점 및 차이점
- 입/출력
- 매크로
- 2557
- iOS14
- Django란
- 장고란
- correlation coefficient
- string 함수
- 이분그래프
- UI한글변경
- getline
- 입출력 패턴
- vscode
- 백준
- double ended queue
- EOF
- 알고리즘 공부방법
- Django의 편의성
- 표준 입출력
- scanf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65)
Storage Gonie
1. 채용공고 및 자소서 문항이 공개된다. 2. 자소서 블로거들이 자소서 항목을 분석해준다. 3. 위 분석글 들을 2개정도 읽어본 뒤 작성한다. 위 과정을 따르면 자소서 작성이 훨씬 쉬워진다.
1. 차트만 보고는 시장이 어떻게 흘러갈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에대한 꾸준한 정보수집이 필요하다. - 차트만 보고는 이 종목에 어떤 이슈가 있는지 알 수 없는데, 시장에 대한 정보수집을 꾸준하 하고 있었다면 이 종목이 강할 이유를 알고 좀 더 확신있는 매매를 할 수 있게 된다. 2. 지수보다 강한 종목을 찾아낼 때는 지수가 하락하는 지점을 개별종목 차트와 비교해 봐야함. - 지수가 하락하는 구간에서 이를 분별해 내려고 해야 지수의 조정이 끝난뒤 크게 갈 종목을 찾아낼 수 있다. - 지수가 저점이 낮아지는데 개별종목은 높아지는가를 보면 된다. 3. 같은 섹터 혹은 테마 내에서도 좀 더 강한 종목이 존재하니 그 종목을 매수할 수 있도록 해라.
CFD 란 무엇인가? - "투자자인 내가 이자를 낼테니 외국계증권사인 너가 대신 매도해주고 매수해주라. 손해나면 매꿔주고 수익나면 내가 먹을게" - 위 사항에 대해 외국계 증권사와 투자자인 내가 계약을 맺는데 이를 선물처럼 매수/매도 할 수 있는 것. 이외 선물과 구분되는 CFD의 특징 - 주식선물이 135개 종목에 한정된 것에 비해 CFD는 1600여개 종목에 대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최대 10배 레버리지 계약 체결가능 - 계약 체결시 매수든 매도든 주식 수량이 외국계 증권사로 수급이 찍힘. - 매수계약을 체결해도 내가 실제로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대주주 양도세 회피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했었음. 단, 최근에 회피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정부가 알아서 다시 세금을..
IMF가 일어나게된 원인 1. 대기업이 문어발식 투자를 하면서 국내 종금사에 돈을 빌려달라 요청. 2. 종금사가 해외에서 3개월짜리 단기차입 방식으로 달러를 왕창 빌려와서 다시 이 빌린 달러를 대기업에 빌려줌. 3. 무리하게 대출해준 종금사가 이걸 상환해야 하는 상황이 오자 원화를 싹 팔고 달러를 사서 값자, 원화 가치가 폭락해 원달러 환율이 1900원대에 육박 이로인한 금융위기 초래. 결국 IMF는 금융리스크 관리 못한 정부문제. 난또 IMF가 국민이 해외여행 많이 다니거나, 외화소비를 너무 많이해서 그런건줄 알았는데 그게 아님 주식인으로서 IMF를 구체적으로 알아야 하는 이유 - 경제성장이 급속하게 일어나는 신흥국에서 분명 이런거 잘 통제 못해서 같은일이 벌어질 수 있는데 이때 이나라 증권주에 투자해..
본문 - 지수가 20일선위에서 양봉도 자주 등장하고 탄탄하게 상승해주는 구간이라면 당일 불타기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 - 반대로, 지수가 20일선 아래서 추가하락의 가능성이 크다면 물타기만 고려해야 함. 상승했다 하더라도 호가공백을 이용해 급격히 오른 때가 많아 대부분의 종목이 상승폭의 대부분을 당일 다시 반납하는 경우가 많음. 이 경우 수익극대화는 포기하는게 좋다. 기억하자. 당일 대한해운 -14만원, HMM -5만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zg2Y/btqVFCQ2PYG/0AsSUpmvF0ZXq4d5nP1ON1/img.png)
* 중반부부터 등장하는 주요 데이터를 읽는 방법을 위주로 볼 것. 1. 아래 사이트 접속 - 정보데이터시스템 - 통계 - 공매도 통계 - 공매도 잔고 - 공매도 잔고 상위 50종목 (아래 링크를 통할시 앞단계 생략 후, 뒤에서 두번째 단계부터 들어가면 됨) - data.krx.co.kr/contents/MDC/MDI/mdiLoader/index.cmd?menuId=MDC0203 2. '공매도 비중이 높은 종목' 및 '주요 공매도 세력'을 알 수 있음 * 이 단계에서는 비중으로 표현되는 값이 단순상장주식수 대비 공매도잔고수량이므로 유통주식수에 대한 고려가 없다. 즉, 표준화 되어지지 않은 비중 값이다. 따라서, 표준화를 위해 단순상장주식수를 유통주식수로 바꿔 다시 계산해준다. 3. 표준화 작업을 통해 유통..
기관, 외국인이 주요 주체로 들어오는 대형주에서 가격이 빠지는 움직임을 보일 때 구분되는 특징 1) 바로 윗호가에 매도 물량이 계속 채워지며 공매도 세력이 있는것 처럼 빠지고있는 경우 => 그냥 외인, 기관 둘중에 하나가 공매도 치고있는 것으로 당일 주체의 꾸준한 매도 의도가 확실함. (지수가 당일 큰 흐름에서 하락중 일때의 특징이기도 함) => 장중 추가 하락이 있을 것으로 예상해야 하며, 장중 매수를 거르고 종가매수를 고려하거나 분할매수를 하더라도 1차 지지는 거르고, 2차 지지에서 한발 늦게 매수하는게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는 방법임. * 간혹 도중에 상황 반전이 있어 공매도로 채워진 바로 윗호가 대량 물량을 잡아먹는 상승이 나오는데 이건 기존 공매도 세력외 상승시킬 의지가 있는 새로운 세력이..
초장, 식초, 설탕.... (여기까진 그냥 기존에 집에서 만들었던 초장보다 점도가 낮은 초장이라 보면 됨) , 소금(야채로 인해 싱거워진 맛을 보강), 깨
* 유튜브 영상을 보고 적은 내용 [투자방법] 1) (가장비중높음) 몇 년 간격으로 변하는 시대(시장)중심주, 지수의 높낮이에 따른 비중조절 매매(반도체, 미래차관련) - 상승 초기에 잡아야 하는데 이동평균선을 참고할 것. 이동평균선은 지금 가격이 높은지 낮은지를 참고할 수 있는 지표이므로 참고하면 좋음. - 시장 중심주가 많이 떨어졌다가 골든크로스가 처음 발생했을 때 매수, 데드크로스가 발생하면 무조건 매도. 그리고 이게 꺾인다음에 20일선, 60일선일 때 매수하는거. -> 여긴 맥락이 없어 이해안됨. - 시대중심주에서 정배열 되기 전에 즉, 단기가 장기 이평을 뚫을 때 골든크로스가 발생하는데 이 때 먼 발치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향후에 주식시장이 어떻게 될것인가? 또는 어떤 사건이 어떻게 전개될..